목록분류 전체보기 (233)
주뇽's 저장소
Markdown이란 ? 마크다운(Markdown)은 마크업 언어의 일종으로 온갖 태그로 범덕된 HTML문서 등과 달리, 읽기도 쓰기도 쉬운 문서 양식을 지향하며 확장자로는 .md 또는 .markdown을 쓰지만 .md를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Markdown 문법 문단 제목 # 문단의 제목을 사용할 때 사용하며 총 6단계까지 할 수 있으며, # 의 개수가 커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1단계 제목 2단계 제목 3단계 제목 4단계 제목 5단계 제목 6단계 제목 강조 여러가지 강조 표현들이 존재한다. 이탤릭체 *글자* 또는 _글자_ 를 붙인다. 이탤릭체 , 이탤릭체 볼드체 *글자* 또는 __글자__를 붙인다.볼드체, 볼드체 이탤릭체 & 볼드체 *글자* 를 붙인다.이태릭 & 볼드체 취소선 ~글자 를 붙인다.취..
CF + GNN 모델 조사 그래프 구성의 차이 일반적인 GNN모델들은 단순하게 사용자-아이템 이분 그래프에 직접 GNN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 학습하기에 표현이 충분하지 않음 대규모 그래프의 경유 높은 계산 비용 발생 GCCF(Graph Convolu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기존의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작용 행렬을 분해하여 임베딩 하는 방식의 MF 모델을 개선하기 위하여 나온 모델로 그래프 구조를 고려하여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한다. GCCF에서는 그래프를 구성할 때, 사용자와 아이템을 노드로 표현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엣지로 표현합니다. 이 그래프를 바탕으로 GCN을 적용하여 사용자와 아이템의 임베딩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용자..
Collaborative Filtering(협업 필터링) 다른 사용자의 구매 이력, 평가 등을 바탕으로 다른 사용자와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좋아할만한 상품을 추천하는 기술이다. ex) A,B 두 명의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 A : 햄버거를 좋아함 B : A와 B의 음식 취향이 비슷함 B 에게 A가 좋아하는 햄버거를 추천 Collaborative Filtering 종류 Neighborhood Method 유저와 아이템의 데이터를 연관하여 추천하기 때문에 쉽다. 복잡한 계산 과정이 필요하여 확장이 힘들다. Latent Factor Model 기본적으로 사용 Matrix Factorization Netflix Prize 논문에서 사용 Matrix Factorization 유저와 아이템간의 상호작용에는 유..
LightGCN은 Collaborative Filtering (CF)에서의 User-Item Interaction Matrix(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 매트릭스)를 활용한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이다. LightGCN은 그래프 신경망 모델 중 가장 간단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모델 중 하나이다. 모델 구조는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작용을 표현하는 유저-아이템 행렬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만든다. 이때 그래프의 각 노드는 유저와 아이템을 나타내며, 각 엣지는 유저와 아이템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냅니다. LightGCN은 다른 CF(협업 필터링) 모델과 달리, User와 Item간의 interaction(상호작용)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User와 Item을 Embedding시키는 작업만을 수행한다. 즉..
H → 특징 행렬의 Coulmn을 통과 A = 인접 행렬 H = 특징 행렬 W = 가중치 행렬 HW (특징 행렬 X 가중치 행렬) 현재 예제에서는 가중치 행렬의 필터 갯수를 6개로 했지만 보통 16인듯 AHW (인접행렬 X 특징 행렬 X 가중치 행렬) READOUT - Permutation Invariance 1번 그래프와 2번 그래프는 같은 그래프이지만 특징 행렬의 표현이 달라짐 그래프는 순서의 상관없이 같은 값이 나와야 함 마지막 H(특징 행렬)에 MLP를 적용해서 벡터로 만들어서 활성화 함수를 통과 Overall X → H(특징 행렬) A → A(인접 행렬) ### **Cora Dataset을 이용하여 GCN 논문 실습(Ensigner)** https://www.youtube.com/watch?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tDRQ/btsrB8j3OjI/os3kU1t6NWhxs0qSNOWbFk/img.png)
DSLR(Digital Single-Lens Reflex) 카메라와 미러리스(미러리스 인터치인지 카메라) 사이에는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 이 두 유형의 카메라는 모두 디지털 이미지를 캡처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카메라로,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1. 미러 시스템의 유무: - DSLR: DSLR 카메라는 이름처럼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거울 시스템을 사용한다. 눈을 뷰파인더에 가져다 대면 거울이 상승하여 빛을 광학 뷰파인더로 보내주며, 셔터 버튼을 누를 때 거울이 내려와 이미지 센서에 빛을 투과시켜 사진을 찍는다. - 미러리스: 미러리스 카메라는 거울 시스템 없이 렌즈와 이미지 센서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는 카메라 크기를 줄이고 더 간단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며, 전자 뷰파인더 또는 후면 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UnhC/btsryqesjJP/2Y2KYIeRUpKYKAYol8xiM0/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8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1부터 n까지 번호가 붙어있는 n명의 사람이 영어 끝말잇기를 하고 있습니다. 영어 끝말잇기는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진행됩니다. 1번부터 번호 순서대로 한 사람씩 차례대로 단어를 말합니다. 마지막 사람이 단어를 말한 다음에는 다시 1번부터 시작합니다. 앞사람이 말한 단어의 마지막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를 말해야 합니다. 이전에 등장했던 단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 글자인 단어는 인정되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Sgnm/btsrCxRkGj2/JLfSbJ5Hl7UKEvyEi6Ktn1/img.png)
static과 CSS는 웹 개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웹 페이지의 디자인과 스타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1. Static 파일 웹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HTML, CSS, JavaScript 등의 파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static 파일은 웹 페이지의 정적인 자원들을 저장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정적인 자원은 서버에서 변하지 않는 파일로, 예를 들어 이미지, 스타일시트(CSS), 자바스크립트 파일 등이 있다. 장고에서 static 파일은 애플리케이션의 정적인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디렉토리이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디렉토리 내에 static 디렉토리를 만들어 관련 자원을 저장한다. 이렇게 하면 개발자가 웹 페이지의 스타일, 이미지 및 스크립트와 같은 자원을 쉽게 참조하고 관리할 수 있다...